[단독] 타부처 전입 받고 임기직까지… 하반기 1000명 수시채용도 예고 [심층기획-갈 길 먼 근로감독관제]

고용부 구체적 증원 방안 이목 쏠려
이미 가동 중인 300명 중 절반가량은
증원직제와 무관 안전보건공단 인력
9급 공채 배정·직제 개정 등 연쇄 영향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당장 300명, 올해 1000명의 근로감독관을 증원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면서 구체적인 증원 방안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고용부는 산업안전 분야 경험이 있는 공무원을 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전입받는 데 더해 하반기에 대규모 고용 직렬 수시 채용을 진행할 방침이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7회 국회(임시회) 법제사법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스1

고용부는 일단 산업안전보건 감독관 증원을 선조치했다. 김 장관이 지난달 30일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300명은 이미 만들어져서 가동 중”이라고 했으나 엄밀히는 300명 중 절반가량은 산하 기관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인력이며 나머지는 지방노동청, 지청, 고용센터에서 산업안전 감독 경험이 있는 인력으로 꾸렸다.

 

고용부 관계자는 “노동청, 지청, 고용센터에 4일자로 인사발령이 있을 것”이라며 “300명 증원된 수시 직제 개정이 이달 중 이뤄질 것”이라고 3일 말했다. 문제는 안전보건공단 인력은 고용부 근로감독관 증원직제와 무관하단 점이다. 150여명을 채용하는 데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공단 인력을 일단 투입한 것이다. 정식 인력을 구해야 하는 탓에 고용부는 타 부처와 지자체에서 전입을 받겠다는 계획이다. 타 부처 인원은 30명, 지자체는 20명을 목표로 잡았다. 전입 신청 공고는 이미 지난달 말 띄워졌다.

 

이외에 산업안전 분야의 경험이 있는 민간인이나 공무원을 임기직으로 경력 채용할 예정이다. 임기직 경력 채용은 100명 단위가 될 전망이다.

 

산업안전 분야를 포함한 근로감독관 전체 인력을 연내 1000명 추가로 증원하기 위한 과정이다. 행정안전부는 내년 1월 반영되는 고용부 정기 직제에 1000명 증원을 구두로 일단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용부가 이달 300명에 더해 정기 직제로 근로감독관을 1000명 더 늘리면 내년 1월에는 현재 정원보다 최소 1300명이 늘어나게 된다. 채용을 위해서는 하반기 수시 공무원 채용이 불가피하다.

 

통상 7급 정기 공채 공고는 1월 초 공표되는데 그 공채로 인력이 보강될 경우 보강 시점이 내후년으로 늘어질 수 있어서다. 고용부 관계자는 “인사혁신처와 협의해 하반기에 수시 공채를 띄우게 될 것”이라며 “다만 시험장 섭외 등 준비절차가 필요해 채용 시점이 하반기는 아닐 수 있다”고 부연했다.

 

당장 현재 노동청, 지청, 고용센터에서 발생한 인력 공백은 이달 중순 부서 배치를 받는 신규 9급 공채가 메우게 된다. 총 입직자는 250여명이다.

 

여기에는 고용노동직류 및 직업상담직렬에 더해 일반행정직으로 뽑혀 고용부에 배치된 155명이 포함된다. 일반행정직은 전국 단위로 통합 선발돼 합격 뒤에야 부처별 정원에 따라 배치되는데 이번에 합격자 348명 중 44.5%가 고용부에 배치됐다.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는 합격자 중 고용부로 배정된 인원이 0명이었다. 고용부에 이례적으로 일반행정직이 대거 배치된 이유는 감독관 증원에 따른 연쇄 영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