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총통 “美 관세 20%는 임시 세율… 최종합의 때 인하 가능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역 합의가 완료되지 않은 대만에 1일부터 2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데 대해 라이칭더 대만 총통이 협상 마무리 단계에서 임시 세율이 매겨진 것이라며 최종 합의에 도달하면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라이 총통은 1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페이스북 계정에 올린 글에서 “조금 전 미국은 워싱턴에 있는 대만 협상팀에 대만의 ‘일시적 관세’가 20%라고 통보했다”며 “주요 원인은 협상 순서 안배에 따라 대만과 미국이 아직 최종 회의를 마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라이칭더 대만 총통. EPA연합뉴스

라이 총통은 “따라서 미국은 먼저 대만에 20%의 일시적 세율을 발표한 것으로, 이후 합의에 도달하면 세율이 더 인하될 수 있다”며 “양국은 뒤이어 공급망 협력 및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 관련 의제를 함께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협상팀은 제한된 일정에도 네 차례 실무협상과 여러 차례 화상회의를 거쳐 기술적 협상을 완료했으며 국가이익 수호, 산업안보 수호, 국민건강 수호, 식량안보 확보라는 4개 과제를 굳게 지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라이 총통은 그러면서 “오늘 미국이 발표한 세율이 일시적 조치이기는 하지만 반드시 더욱 분발해 합리적 세율을 얻어내 유지하고 관세 협상의 마지막 관문을 완성하겠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조정한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대만에 부과하는 관세율을 기존에 통보한 32%에서 20%로 낮췄다. 대만은 미국과 관세 협상을 위해 정리쥔 부행정원장(부총리 격)이 이끄는 협상팀을 최근 미국에 파견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앞서 지난달 31일 대만 행정원은 대변인을 통해 “미국과 기술적 협의를 완료했으며 관세, 비관세 무역장벽, 무역 편리화, 공급망 회복력, 경제 안보 등 의제에 대해 일정한 합의에 도달했다. 미국 정부의 의사결정 과정이 끝나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