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교육부, 영어유치원 ‘레테’ 전수조사 나선다…‘4세고시’ 조사 [지금 교실은]

교육부, 17개 시·도교육청에 공문
영어수준 측정시험 여부 등 파악
“유아 사교육 주범 실태 확인 초점”

교육부가 소위 ‘영어유치원’이라 불리는 유아 대상 영어학원의 레벨테스트 전수조사를 추진한다. ‘4세 고시’, ‘7세 고시’란 말이 나올 정도로 과열된 유아 사교육 시장에 대한 실태 파악에 나서는 것이다.

 

교육부는 최근 17개 시·도교육청에 ‘유아 대상 영어학원 특별점검 시행 요청’ 공문을 보냈다고 14일 밝혔다. 교육부는 각 교육청에 5월 기준 관내 유아 대상 영어학원 현황을 16일까지 제출할 것과, 교육부가 제공한 체크리스트를 활용해 해당 학원들을 전수조사한 뒤 그 결과를 8월1일까지 제출할 것을 요청했다. 

 

서울 강남구의 한 유아 대상 영어학원의 신입생 모집 현수막. 연합뉴스

교육부가 제공한 체크리스트에는 유아 대상 영어학원들이 신입을 받을 때 영어 수준을 측정하는 별도의 시험(레벨테스트)을 시행하는지가 담긴 것으로 확인됐다. 관내 모든 유아 대상 영어학원을 찾아가 레벨테스트를 보는지 들여다보라는 것이다.

 

교육부와 교육청이 유아 대상 영어학원 점검을 한 적은 많지만,교육부가 레벨테스트 실태 파악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유아 대상 영어학원 숫자만 파악해선 유아 사교육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보고 실제 학원들이 어떤 식으로 레벨테스트 등을 운영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데 초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유아 대상 영어학원의 레벨테스트는 유아 사교육의 주범으로 꼽힌다. 유명 영어학원들은 5세반과 8세반 등의 입학을 원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레벨테스트를 치른 뒤 일정 수준 이상만 입학시키거나 상위권 반을 따로 뽑는데, 이 시험을 준비하기 위한 사교육 시장이 과열되면서 ‘4세·7세 고시’란 말도 등장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하지만 레벨테스트 실시 여부는 신고 사항이 아니어서 현재 교육 당국은 레벨테스트가 얼마나 시행되는지 현황조차 파악 못 하고 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의원실이 전국 교육청에 관내 학원의 4세·7세 고시 현황을 요청한 결과 교육청 10곳은 “4세·7세 레벨테스트를 하는 학원은 0곳”이라고 했고, 7곳은 “현황이 없다”고 했다. 공공연하게 레벨테스트가 이뤄지는 현실과 동떨어진 결과다. 이 때문에 유아 사교육 문제를 해결하려면 제대로 된 현황 파악부터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번 조사로 유아 대상 레벨테스트의 실태가 드러날 수 있는 만큼 향후 조사 결과를 토대로 유아 사교육 대책도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민단체 등에서는 사교육업체의 레벨테스트를 금지하는 ‘4세 고시 방지법’을 제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