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노동행정 서비스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노동행정인공지능혁신과’를 신설했다. AI 영향력 확대로 경제부처에서 AI 관련 자율기구가 줄줄이 출범하는 모습이다.

30일 고용부에 따르면 노동정책실 산하에 신규 조직인 노동행정인공지능혁신과가 이달 15일부로 만들어졌다. 운영 기간은 6개월(10월 14일까지)이며 1차례 연장해 최대 1년간 운영이 가능하다.
노동행정인공지능혁신과는 고용노동행정 관련 AI 혁신 전략을 짜는 역할을 한다. 고용부 관계자는 “고용부가 데이터를 많이 가진 부처인데 고용 부분에서 AI가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이 있었다”며 “AI 관련한 노동행정 서비스를 발굴하자는 취지로 신설한 조직”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과는 AI를 활용한 노동행정 정책 발굴을 위해 데이터 정비부터 활용, 기획, 예산 확보 등을 담당한다. 지난해 첫선을 보인 근로감독관 AI 지원시스템 업무도 전담해 추진한다. 근로감독관 AI 지원시스템은 AI를 활용해 노동법을 상담하고 진정서를 접수할 수 있는 서비스다. 지난해 11월 처음 공개됐고, 이달부터는 카카오톡 채널에서 대국민 서비스 중이다. 고용부 관계자는 “정확도 개선 작업을 계속하는 중이고, 6월부터는 정식 홍보에도 나설 것”이라고 했다. 이 외에 고용부 직원을 대상으로 한 AI 활용 방법 등 교육도 해당 과에서 전담할 예정이다.
고용부의 AI 관련 과 신설은 최근 경제부처에서 나타나는 일종의 유행이기도 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12월 ‘산업인공지능혁신과’를 신설했고, 중소벤처기업부도 올해 1월 ‘미래기술대응지원단’을 꾸렸다. 산업부의 산업인공지능혁신과는 산업 AI 확산 정책을, 중기부의 미래기술대응지원단은 중소기업의 AI 활용 정책을 추진한다. 두 부처 조직 모두 운영 기간이 최대 1년인 자율기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