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수 의대에서 유급 시한이 도래한 가운데 30일 대학 총장들이 의대생들에게 “오늘 복귀하지 않으면 더이상 돌아올 수 없다”며 “오늘 안에 수업 참여 의사를 밝혀달라”고 촉구했다. 30일이 지난 후에는 더는 의대생들을 기다릴 수 없다는 최후통첩을 한 것이다.
의대가 있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이날 ‘의과대학 학생 여러분께 복귀를 요청하는 마지막 말씀’이란 입장문을 냈다.


의총협은 “오늘(30일)은 대학과 정부가 학사일정을 고려해서 정한 복귀할 수 있는 마지막 날이다. 어제 교육부에서 오늘을 기준으로 유급 대상자를 확정해 줄 것을 공문으로 요청했다”며 “아직도 복귀를 망설이고 있거나, 5월 이후에도 복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면 오늘이 복귀할 수 있는 마지막 날인만큼 돌아오기를 간곡히 호소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대학별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많은 학생들이 학교로 돌아오고 싶어한다는 것을 확인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학생들은 6월 이후 새 정부가 출범하면 학사 유연화 조치 등을 통해 미복귀자를 구제해줄 것이라는 막연한 루머를 믿고 있다”며 “이는 확인되지 않고 확인할 수도 없는 헛된 기대”라고 선을 그었다.
의총협은 유급 시한이 넘으면 올해는 더이상 학교로 돌아올 수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들은 “오늘까지 복귀하지 않는다면 학칙에 따라 유급될 것이고, 25학년도는 복귀한 학생들의 원활한 교육을 위해 학사를 운영할 것”이라며 “오늘 복귀하지 않는다면 올해는 더이상의 복귀는 어렵고, 여러분에게 천금같이 소중한 1년의 시간을 또 다시 잃어버릴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총장들은 유급이 확정되면 교육과정을 조정하는 학사 유연화 조치로는 복귀할 수 없고, 유급을 구제할 수 있는 방법도 없다는 입장이다. 의총협은 “만약 여러분이 7월 또는 8월에 복귀한다면 이미 1학기 교육과정이 끝난 후다. 여러분을 위해 2학기에 별도의 교육과정을 만들 수는 없다”며 “한 학년에서 이미 복귀한 학생과 후 복귀한 학생을 위한 두 개의 다른 교육과정을 운영하여야 하는데, 대학의 교육 여건상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설령 정부가 대학에 학사 유연화를 요청해도 수용할 수 없다”고 했다.
이들은 “오늘(30일) 24시를 기준으로 유급을 확정할 것”이라며 “오늘 24시까지 학교로 확실한 수업 참여 의사를 밝혀달라”고 촉구했다.
이들의 마지막 호소가 의대생들을 움직일지는 미지수다. 비수도권의 한 대학 총장은 “지금까지 의대생들을 최대한 보호하려고 노력했으나 더이상 기다리고만 있을 수는 없는 상황이 됐다”며 “우리는 의대생들을 보호하기 위해 이러는 것이다. 의대생들이 우리의 진심을 알고 현명한 선택을 해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